Centos7 등 Redhat Enterprise Linux 7 계열의 Linux 는 버전업이 되면서 아래와 같이 System Locale 설정 방법과 Config 위치가 변경되었다. 따라서 Redhat Enterprise Linux 7 계열의 OS 설치후 Aplication 요구조건등에 의한 System Default Locale 의 변경이 필요하다면 아래와 같이 확인 및 변경 가능하다. 1. Centos6 System Locale 확인 및 변경 [root@Centos6 ~]# [root@Centos6 ~]# lsb_release -a LSB Version: :base-4.0-amd64:base-4.0-noarch:core-4.0-amd64:core-4.0-noarch Distributor ID: Ce..
CentOS 7 또는 Redhat Enterprise Linux 7 버전을 처음 설치하게 되면 Network Device Name이 이전 버전과는 상이하게 표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 이는 CentOS 7 버전부터 채택된 systemd를 통해 일관되고 예측가능한 (Consistent and predictable network device naming) 네트워크 장치이름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, BIOS Level에서 인지하는 PCI BUS 주소에 따른 물리적인 장치순서 및 Type에 따라 이름을 지정하는 방식이다. (참고 - https://access.redhat.com/documentation/en-US/Red_Hat_Enterprise_Linux/7/html/Networking_Guid..
Linux Server를 운용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inode 사용량이나 Filesystem 상태가 Clean임에도 Filesystem 사용량이 불일치 하는 현상을 보일 때 가 있다. [root@WAS01 ~]# [root@WAS01 ~]# df -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 /dev/xvda2 20G 1.9G 17G 10% / /dev/xvda7 29G 29G 0 100% /home /dev/xvda6 20G 694M 18G 4% /var /dev/xvda5 20G 3.5G 15G 19% /usr /dev/xvda1 99M 39M 55M 42% /boot tmpfs 22G 0 22G 0% /dev/shm /dev/xvdb1 99G 13G 81G 14%..
Linux 시스템을 운영하다보면 시스템에 Open된 File 및 Socket 등의 Count가 필요할 경우가 있으며, 이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하다. [root@s-node01 ~]# [root@s-node01 ~]# echo "OS Total Open File & Socket Count - `lsof | wc -l `" OS Total Open File & Socket Count - 637 [root@s-node01 ~]# [root@s-node01 ~]# system root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Open된 File Count 하기 [root@Test01 ~]# [root@Test01 ~]# lsof | awk '$3 !~ /root/ {print $0}' | wc -l 1153..
시스템을 운용하다 보면 종종 Disk의 사용량이나 기타 문제로 인해 Disk Volume에 대한 대개체 혹은 그에 수반되는 Data Migration 이 필요 할 경우가 있다. 만약 Migration 대상 Data의 Size가 작거나 24x7 형태의 실시간성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시스템이라면, Data를 Migration 하는 동안 서비스를 중단시켜, 변경분 데이터의 발생을 막고 데이터의 무결성과 정합성을 보장 할 수 있을 것이다. 하지만 Migration 대상 데이터의 Size가 비교적 커서, Migration에 수반되는 서비스 중단시간이 길어 질 수 밖에 없다면, 해당 작업에 대한 비지니스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리스크를 감수 해야한다. 시스템의 운영자로서 이러한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것은 책임과 의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