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Linux 시스템에서 Shared 구조의 파일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로 NFS 방식이 제공되며 아래와 같이 구성 가능
1. NFS 서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서비스 데몬이 활성화 되어야 함.
[root@s-node01 ~]# |
2. NFS 서버 관련 서비스 데몬이 없을 경우 yum 을 통하여 설치
[root@s-node01 ~]# [root@s-node01 ~]# |
3. NFS 서버를 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수행하며 iptable 방화벽은 stop 또는 관련 정책을 추가토록 한다.
※ 아래 /etc/exports 파일 설정 시 사용가능한 옵션과 그 정의
ro - 읽기 전용 (기본값)
rw - 읽기/쓰기 모드
root_squash - Client의 root를 익명 사용자(nobody)로 매핑 (기본값)
no_root_squash - Client의 root를 NFS 서버의 root로 매핑
all_squash - 모든 사용자를 익명 사용자(nobody)로 매핑
sync - Client와 NFS 서버간 동기적 통신 모드 (기본값, 안전성 향상)
async - Client와 NFS 서버간 비동기 통신 모드 (속도 향상)
secure - 마운트 요청 시 포트를 1024 이하로 할당 허용 (기본값, 1024 이하 포트는 root만 설정 가능)
insecure - 마운트 요청 시 1024 포트 이상도 할당 허용
[root@s-node01 ~]# |
4. NFS 서버 구성 완료후 Client 서버에서 아래와 같이 NFS 마운트
(CentOS 6.x 혹은 Redhat 6 이상일 경우 portmap 데몬은 불필요하며 netfs 및 rpcbind 데몬으로 마운트 가능)
[root@m-node01 /]# [root@m-node01 /]# chkconfig --list | egrep 'portmap|netfs' [root@m-node01 /]# chkconfig --level 35 rpcbind on |
5. NFS Client의 Mount 완료 후 NFS Server 최종 상태 확인
[root@s-node01 ~]# [root@s-node01 ~]# exportfs -v /NFS/shared_storage <world>(rw,wdelay,no_root_squash,no_subtree_check,anonuid=65534,anongid=65534) [root@s-node01 ~]# [root@s-node01 ~]# [root@s-node01 ~]# showmount -a All mount points on s-node01: 192.168.10.30:/NFS/shared_storage 192.168.10.40:/NFS/shared_storage [root@s-node01 ~]# [root@s-node01 ~]# |
'System Story > CentOS 5,6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h 와 tar를 통한 파일 전송 효율화 (0) | 2014.01.08 |
---|---|
XenServer 기반 가상화 Linux VM의 하드웨어 time 동기화 (0) | 2014.01.07 |
mkfs를 통한 파일시스템 작성 에러시 확인 및 조치 (2) | 2013.12.20 |
Filesystem FSCK 강제 점검 변경하기 (0) | 2013.12.17 |
EMC Storage Device 정보 조회를 위한 Powerpath 및 SymCLI 예제 (0) | 2013.12.13 |